충청일보 김정운 기자 | 세종특별자치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축산물가공품 등의 비대면 구매가 증가함에 따라 안전한 먹거리가 제공될 수 있도록 온라인 수거검사 체계를 강화한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1인가구와 맞벌이 부부 증가로 비대면 소비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것을 감안해 지난해 온라인 다소비 축산물가공품 30여 건을 대상으로 미생물, 보존료, 타르색소 등 성분규격 적합 여부를 검사했다.
검사 결과 해당 가공품들은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
올해부터는 온라인뿐만 아니라 최근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는 무인판매시설의 축산물도 포함해 검사를 확대한다.
특히 이달 중에는 ▲식육가공품 제조업체 생산품 ▲통신판매 축산물가공품 등을 중점 수거해 검사할 예정이다.
검사 결과 부적합으로 판정된 축산물은 신속하게 판매금지 및 회수·폐기 등의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부적합 정보는 식품안전나라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다.
부적합 품목을 생산 또는 판매한 생산자 및 영업자를 대상으로 재발 방지를 위한 교육과 홍보 등도 진행한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온라인, 무인판매점, 자동판매기 등에서 축산물을 구매할 때 변색, 부패취 등 내용물의 상태와 보관온도, 포장상태 등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구매 후 최대한 빨리 섭취할 것을 당부했다.
정경용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앞으로도 비대면 유통 축산물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해 시민들이 안전한 먹거리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