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김문호 기자 | 충북도가 추진 중인 탄력근무 틈새일자리 사업인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이 전북 완주군에서 ‘완주형 일자리 품앗이 시범사업으로 확산 시행된다.
충북도와 전북 완주군 관계자는 지난 15일, 청주시 일자리종합지원센터에서 완주군 신규 추진사업에 대한 운영 방식과 충북도 추진 노하우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은 충북도가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개념 일자리 정책으로, 저출산, 고령화에 직면한 근로 시장에서 기존 ‘9시 출근, 6시 퇴근’ 근로 모델에서 벗어나, ‘4~6시간 탄력 근무’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여 기업은 만성 인력난 해소하고 구직자에게는 개인별 여건에 따른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얻고 있다.
이는, 지난해 11월 개최된 행정안전부 주관 ‘정부혁신 왕중왕전’에서 국무총리상(은상)을 수상하며 전국 확산 가능성을 인정받기도 했다.
이번에 도입되는 전북 완주군은 충북과 유사하게 생산 현장 기피, 고령화 등으로 중소기업 인력난 문제를 겪고 있는 지역으로, 충북의 선도적 사례를 바탕으로 맞춤형 모델을 적용하여 4월 중순부터 시범 사업을 본격 시작할 예정이다.
김두환 충북도 경제통상국장은 “이번 완주군 확산은 충북형 일자리 모델의 우수성이 전국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지역 간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일자리 복지정책을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충북도는 도시근로자 사업의 안정적인 대도약을 위해 도‧시군‧수행기관 간 사업추진협의체 회의를 수시로 개최하여 사업 참여자의 애로사항을 적극 해결하는 한편 사업 현장에 대한 집중 점검을 통해 사후 관리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