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15.1℃
  • 구름많음강릉 13.8℃
  • 맑음서울 15.8℃
  • 박무대전 16.1℃
  • 흐림대구 13.5℃
  • 흐림울산 13.1℃
  • 광주 18.0℃
  • 부산 13.6℃
  • 흐림고창 14.5℃
  • 박무제주 18.1℃
  • 맑음강화 14.9℃
  • 흐림보은 16.9℃
  • 흐림금산 18.1℃
  • 구름많음강진군 19.8℃
  • 흐림경주시 12.2℃
  • 구름많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사회

"진천에서 김유신 장군의 발자취를 느껴보세요"

진천군, ‘김유신을 만나러 오세요’프로그램 운영

 

충청일보 김문호 기자 |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의 역사적 가치를 알리는 2025년 진천 생생국가유산 사업이 진천군에서 열린다.

 

해당 사업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연속 국가유산청 우수사업으로 선정돼 내실 있게 운영되고 있다.

 

‘김유신을 만나러 오세요’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4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셋째 주 토요일 총 6회기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에서 열린다.

 

프로그램은 김유신 탄생지 일원에서 하루 동안 가족 체험형으로 열리며 국가유산, 김유신탄생지와 태실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지역민이 결성한 ‘함께하는 우리역사문화 협동조합(대표 유선순)’이 함께한다.

 

오는 4월 19일 첫 회기 운영을 앞두고 있으며, 이에 앞서 지난 12일에는 국가유산 전문가를 초빙, 체험 부스를 운영하는 지역 강사와의 간담회와 역량 강화 교육을 진행했다.

 

‘신라의 장군 김유신이 왜 경주가 아닌 진천에서 태어났을까?’라는 의문을 품는 사람들이 많은데 현장을 방문하면 김유신 후손에게서 그 이유를 들을 수 있다.

 

또한, 올해에는 인절미 만들기, 풍선아트, 숲속 요가 등 매월 특별 체험 부스를 새롭게 운영해 재미를 더할 예정이다.

 

아울러 화랑복을 입고 활쏘기 대회를 진행하는데, 성인부와 어린이부로 나눠 열린다.

 

프로그램 입장을 위해 1인당 소액의 입장료를 받지만, 행사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으로 다시 돌려받아 간단한 먹거리를 구매할 수 있다.

계룡시, ‘계룡문’ 지붕마루 보수 마무리

충청일보 박사현 기자 | 계룡시가 계룡9경 중 하나이자 시의 관문인 ‘계룡문’ 보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번 계룡문 보수는 최근 실시된 해빙기 안전점검 결과 계룡문의 용마루와 내림마루 등 기와 일부에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안전사고 사전예방은 물론 계룡시 방문객에게 보다 정돈된 도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통 한옥기와를 얹은 계룡문은 2020년 9월 준공됐으며 주변 산책로인 사계 솔바람 길과 연계한 가족 중심의 휴식 및 힐링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계룡문 주변으로는 경관조명을 설치해 야간에는 주간과는 차별화된 멋스러움을 뽐내고 있으며, 계룡문에 올라 메타세콰이어길과 계룡산을 조망하는 경관 역시 시민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시는 보다 쾌적한 계룡문 방문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승강기 설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계룡시의 관문인 계룡문이 시를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계룡시, ‘계룡문’ 지붕마루 보수 마무리

충청일보 박사현 기자 | 계룡시가 계룡9경 중 하나이자 시의 관문인 ‘계룡문’ 보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번 계룡문 보수는 최근 실시된 해빙기 안전점검 결과 계룡문의 용마루와 내림마루 등 기와 일부에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안전사고 사전예방은 물론 계룡시 방문객에게 보다 정돈된 도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통 한옥기와를 얹은 계룡문은 2020년 9월 준공됐으며 주변 산책로인 사계 솔바람 길과 연계한 가족 중심의 휴식 및 힐링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계룡문 주변으로는 경관조명을 설치해 야간에는 주간과는 차별화된 멋스러움을 뽐내고 있으며, 계룡문에 올라 메타세콰이어길과 계룡산을 조망하는 경관 역시 시민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시는 보다 쾌적한 계룡문 방문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승강기 설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계룡시의 관문인 계룡문이 시를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