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김문호 기자 | 음성군이 민선7기부터 지속가능한 성장과 더 큰 음성 건설을 위해 탄탄히 다져온 신성장산업 집중 육성 프로젝트에 따른 노력의 결실을 맺고 있다.
군은 충북연구원에 의뢰해 실시한 ‘2024년 음성군 4+1 신성장산업 육성에 따른 성과분석’ 결과, 생산유발 6조2248억원, 부가가치유발 2조3502억원, 취업유발 3만 3346명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17일 밝혔다.
성과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중 충북(음성) 내에서 유발되는 파급효과는 생산유발 3조7184억원, 부가가치유발 1조4289억원, 취업유발 2만1119명이다.
이는 2024년 4+1 신성장산업 관련 기업의 투자유치 실적(5건, 2조8845억원) 및 공모사업 선정 결과(8건, 4974억원)를 기초로 한 분석 결과이며, 투자단계 효과로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사업비 지출로 인해 유발되는 단발효과를 전제로 한다.
군은 중부고속도로 개통 이전까지는 대표적인 농업중심도시로 현재는 제조업 기반 산업구조를 지닌 대표 공업도시로 변모했으나, 노동집약적인 산업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부가가치율이 낮고 고도성장에도 한계가 존재하는 실정이었다.
이에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의 전환을 도모하는 한편 새로운 미래먹거리 창출을 위해 민선7기부터 신성장동력산업(신에너지, 지능형부품, 자동차물류, 뷰티헬스, 기후환경농업)을 육성하기 시작했다.
민선8기에 들어서는 4+1 신성장산업(에너지신산업, 이차전지, 시스템반도체, 헬스케어+기후대응농업)으로 개편해 집중 육성하고 있다.
신성장산업 집중 육성과 함께 관련 기업 투자유치 기반 마련을 위한 기업 수요중심의 산업단지 조성(조성완료 17개소, 조성 중 10개소, 추진 중 7개소)으로 민선7기 이후 14조1200여억원의 투자유치, 1만7000여명의 고용 창출 실적을 달성했다.
그 결과, 민선7기 이후 음성군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매년 증가해 2022년 기준 10조5507억원으로 9년 연속 도내 2위, 1인당 GRDP는 최초로 1억원을 돌파(1억500만원)해 2년 연속 도내 1위를 차지했다.
그리고 지난 2월 한국농어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2024 지역발전지수(RDI)’의 ‘지역경제력’ 부문에서 전국 군단위 지자체 가운데 1위의 성과를 창출했다.
아울러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4년 하반기 고용률 4개 분야에서 △OECD 기준 15~64세 고용률 77.9%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 72.4% △경제활동참가율 73.6% △청년고용률 51.7%로 도내 1위를 기록하는 등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조병옥 군수는 “신성장산업 집중 육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 성장을 통한 산업 활성화의 성과가 점차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성장, 더 큰 음성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민선8기 4대 혁신성장산업(에너지신산업, 시스템반도체, 이차전지, 헬스케어)에 1개의 지역기반사업(기후대응농업)을 더해 2030 음성시 건설의 발판 마련을 위한 미래 먹거리산업을 선정해, 15개 전략, 23개 과제, 68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